에릭슨최면에서의 협응성의 원리 협응성이란 신체 및 심리적인 것을 협응에 대한 것을 총체적으로 말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내가 누군가에게 ‘오른손을 들라’고 할때 그냥 단순하게 입으로만 '손을 들라'고 말을 하는 것과 내가 직접 한 손을 들어보이면서 '손을 들어보라'고 하는 것은 듣는 사람의 입장에서의 반응은 달라질 수 있.. 마음과 심리마당/최면 2009.06.02
밀턴 에릭슨과 칼 로저스의 원리 로저스가 성장원리를 제안했을 때 그는 성장 과정을 야기하는 치료적 분위기에 대해서 오랫동안 연구하였다. 그는 “자연주의자의 관찰적·기술적 접근을 취하기 위하여 현상에 대하여 최대한 선입견없이 접근하였다... 나는 나 자신을 수단으로서 사용하였다” (Rogers, 1961)고 말했다. 그리고 이러한 .. 마음과 심리마당/최면 2009.05.29
설교수가 본 심리학과 최면 우리나라의 심리학 분야에서 최면은 아직 과학에 바탕을 둔 정통 심리학의 학문 분야로 인정받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일반적으로 심리학자들은 최면을 사이비심리학(pseudopsychology)이라는 차원에서 보기 때문에 심리학에서 소외되는 경향이 있다(최상진, 1997). 최면은 또한 심령술, 점성술, 관상, 초능.. 마음과 심리마당/최면 2009.05.27
밀턴 에릭슨과 칼 로저스의 성장원리 칼 로저스가 성장원리를 제안했을 때 그는 성장 과정을 야기하는 치료적 분위기에 대해서 오랫동안 연구하였다. 그는 “자연주의자의 관찰적·기술적 접근을 취하기 위하여 현상에 대하여 최대한 선입견없이 접근하였다... 나는 나 자신을 수단으로서 사용하였다” (Rogers, 1961)고 말했다. 그리고 이러.. 마음과 심리마당/최면 2009.05.24
프로이트가 최면에 미친 영향 프로이트는 최면을 배우고 임상에서 적용하는 과정에서 무의식의 존재를 깨달았고, 그 무의식의 역할에 대해서 배웠다. 그리고 그는 그러한 무의식을 의식화하는 한 방법으로 최면법 대신에 자유연상의 기법을 개발하였고 정신분석학을 창시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그는 비록 최면을 통해서 정.. 마음과 심리마당/최면 2009.05.21
밀턴 에릭슨과 헬렌 켈러, 그리고 '사흘만 볼 수 있다면' 혹시 밀턴 에릭슨이라는 사람을 아시나요? 그는 색맹, 난청, 난독증, 음치, 소아마비라는 다양한 불편함을 한 몸에 안고 살아온 미국의 의사였습니다. 그는 17살때 소아마비가 발병하여 죽음의 문턱을 드나들며 사지를 움직일 수 없는 극한 상황에서 사람을 관찰하고, 사람의 마음과 표정, 눈빛, 언어들.. 마음과 심리마당/최면 2009.05.18
심리치료가로서의 에릭슨 최면가로서의 에릭슨 에릭슨 이전에는 최면치료란 것이 하나의 독립된 학문으로 또는 일차적인 치료적 수단으로 인정받지 못했다. 하지만 그로 인해서 최면은 심리치료의 독립된 학문 분야로 발전하는 중요한 씨앗이 뿌려지게 되었다. 정신분석학의 창시자인 Freud, 게슈탈트치료의 창시자 Perls, 행동.. 마음과 심리마당/최면 2009.05.13
순간최면의 위력 순간최면의 위력에 대해 알아보자. 내가 인기 TV 방송 프로그램인 ‘무한도전’에 출연하여 노홍철을 비롯한 인기 연예인들을 대상으로 최면을 걸고 그들이 흥미로운 장면을 연출한 사건(?)이 생긴 이래로 많은 시청자들이 최면에 관한 다양한 질문들을 해오고 있다. 그 중에는 특히 최면을 거는 방법.. 마음과 심리마당/최면 2009.05.13
나비효과와 자기최면 나비효과란 것이 있다. 1961년 미국의 기상학자 로렌츠가 기상 모델을 연구하면서 이 개념을 발표함으로서 이론적 발판을 마련하였고 그 후에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졌다. 나비효과란 중국 베이징에 있는 나비의 날갯짓이 다음 달 미국 뉴욕에서 폭풍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는 비유로 지구상 .. 마음과 심리마당/최면 2009.05.07
자기최면과 앵커링 심리학에서 사용되는 조건형성이란 개념은 최면 분야에서는 앵커링(anchoring)이라는 개념과 동일하게 사용되고 있다. 앵커링이란 NLP라고 하는 신경-언어프로그래밍 (Neuro-Linguistic Progrmming)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는 일종의 자기최면기법이다. 앵커링이란 원래 특정한 자극에 따라서 특정한 정서적 반응.. 마음과 심리마당/최면 2009.0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