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기문 교수의 ‘스타킹 최면’은 사실이다(4) – '무한도전 최면'과 비교 설기문 교수의 ‘스타킹 최면’은 사실이다(4) – ‘스타킹 최면’과 ‘무한도전 최면’ 나에게 있어서 이번의 ‘스타킹 최면’은 여러가지 면에서 2년전의 MBC ‘무한도전’최면을 연상시킨다. 왜냐하면 무한도전에서도 나는 순간최면법을 사용하여 짧은 시간에 극적으로 유재석을 비롯한 멤버들을 .. 마음과 심리마당/최면 2009.08.03
설기문 교수의 ‘스타킹 최면’은 사실이다(3) – '스타킹 최면'의 기획 의도와 방송 현실 설기문 교수의 ‘스타킹 최면’은 사실이다(3) – 스타킹 최면의 기획 의도와 현실 몇 주전에, SBS에서 스타킹 최면을 기획할 때 나에게 최면으로 학생들의 공부능력을 높이는 것이 가능한지, 그리고 가능하다면 그것을 내가 직접 방송에서 보여줄 수 있는지를 물어왔다. 그래서 당연한 나의 대답.. 마음과 심리마당/최면 2009.08.02
설기문 교수의 ‘스타킹 최면’은 사실이다(2) - 백문이 불여일견 앞의 글에서 나는 ‘스타킹 최면’이 방송된 후의 다양한 논란 상황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그렇다면 스타킹 최면은 왜 그렇게 논란이 되고 있는가? 이번 글에서는 이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생각해보고 나의 생각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직접 보거나 경험해보지 않고는 모른다. 사람들이 스타킹 최면에 .. 마음과 심리마당/최면 2009.08.02
설기문 교수의 ‘스타킹 최면’은 사실이다(1) 설기문 교수의 ‘스타킹 최면’은 사실이다(1) 지난 8월1일 토요일 휴가철 저녁 시간에 방영된 SBS-TV 강호동의 126회 ‘스타킹’에서 최면이 소개되었는데, 그 최면 장면이 크게 쇼킹했는지 많은 사람들이 “조작이다”, “거짓말이다”, “짜고했다”는 등의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그 의.. 마음과 심리마당/최면 2009.08.02
중앙선데이 - 최면관련기사(4) - 최면의 과학 심리 치료 대인기피증 틱장애 50대, 네 차례 치료 받고 머리 흔들림 멈춰 최면의 과학 심리 치료 조강수<pinejo@joongang.co.kr> | 제119호 | 20090621 입력 변영돈(53·변영돈 신경정신과 의원) 원장은 신경정신과 전문의다. 그는 최면 치료 효과에 대한 믿음이 있다. 1987년 대한최면치료학회를 설립한 그는 지금도 이 학.. 마음과 심리마당/최면 2009.07.23
중앙선데이- 최면에 관한 기사 (3) - 영화.드라마 속 최면의 진실 ‘올드보이’ 최면 후 암시 현실에선 가능성 희박 영화.드라마 속 최면의 진실 조강수<pinejo@joongang.co.kr> | 제119호 | 20090621 입력 영화 ‘올드보이’한 장면 최면은 공포 영화나 TV드라마의 소재로 자주 등장한다. 대부분은 최면이 부정적으로 그려진다.반인륜적 행위를 하게 하는 장치(올드 보이)이.. 마음과 심리마당/최면 2009.07.23
중앙선데이- 최면관련 기사(2) - 최면의 과학 범죄 수사 10일 전 스치듯 본 車 색깔,번호, 기억 되살려 뺑소니 잡기도 최면의 과학 범죄 수사 강민석<mskang@joongang.co.kr> | 제119호 | 20090621 입력 10일 전 스치듯 본 車 색깔,번호, 기억 되살려 뺑소니 잡기도 서울 경찰청 3층엔 ‘법최면ㆍ몽타주실’이 있다. 서너 평 남짓한 방에는 누울 수 있는 의자 하나와 보.. 마음과 심리마당/최면 2009.07.23
중앙선데이- 최면관련 기사 아래에 중앙일보 일요판인 중앙선데이 6월21일자에 보도된 최면관련 기사를 소개합니다. 최근에 최면에 대한 관심들이 부쩍 늘고 있는 상황에서 메이저 신문에서 최면을 다루게 된 것은 다행스런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여기서 그 내용을 소개하니 참고가 되기를 바랍니다. ---------------- 고대 샤먼의 신.. 마음과 심리마당/최면 2009.07.23
중앙선데이 기사 ---최면에 관하여--- 뻣뻣해진 몸 위에 사람이 올라서도 “강아지인 줄 알았다” 기사 나도 한마디 (2) 조강수 기자, 최면에 빠지다 "중앙선데이, 디시전메이커를 위한 신문" 최면? 그걸 어떻게 믿어…. 이런 생각을 한 분들이 많을 것이다. 기자가 꼭 그랬다. 그런데 왜들 최면, 최면 할까. 궁금증을 풀려면 직접 부딪쳐 보는 .. 마음과 심리마당/최면 2009.06.21
에릭슨최면에서의 비언어적 언어 에릭슨 최면에서는 음성적 언어도 중요하지만 에릭슨 최면의 특징인 자원을 활용하는 의미에서의 각 개인의 행동이나 표정이 말하는 비언어적 표현에도 지대한 관심을 갖는다. 언어 및 비언어적 맞추기(matching)란 치료자가 내담자의 언어와 비언어적 특성을 잘 관찰하고 그것에 맞추어 따라하는 것을 .. 마음과 심리마당/최면 2009.0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