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면? 과학? 마음이라는 동전의 양면 (내 아들의 글) 아래의 글은 미국에서 대학교 3학년을 마치고 지금은 휴학중인 내 아들의 글입니다. 아버지의 입장에서 이 글의 내용을 보고 여러분과 함께 나누고 공개하고 싶어서 이곳에 게시합니다. ************ 저는 미국에서 고등학생를 다니면서 그 시기에 과학에 푹 빠져 있어있었습니다. 그래서 그 당시엔 NLP나 .. 마음과 심리마당/최면 2008.12.25
[스크랩] 에릭슨 최면이란? NLP의 이론들과 밀접한 관계에 있는 밀튼 에릭슨은 당대 최고의 최면사로 불리기도 하지만 NLP에 끼친 지대한 영향력으로 인해서도 대단한 의미를 가진 사람이다. 임상최면에서 전통적 최면과는 구별되는 에릭슨 최면은 ‘간접적 최면’ 또는 ‘비지시적 최면’으로도 불린다. 이것은 정신과 의사이자.. 마음과 심리마당/최면 2008.12.24
최면상담 - 에릭슨과 최면 “어린이는 어른의 아버지”라고 계관시인인 윌리엄 워즈워드(William Wordsworth)가 읊었듯이 에릭슨과 로저스의 어린 시절 경험은 그들의 가치관 형성에 불가피하게 관련될 수 밖에 없었다. 두 사람은 모두 농촌에서 자랐다. 그리고 “그들이 매일 경험했던 자연적 성장 과정을 통해서, 그들의 가치관에 .. 마음과 심리마당/최면 2008.12.24
최면 - 최면에 걸리는 것에 대한 저항심리와 불안에 관하여 일반적으로 초보자가 최면을 할 때는 최면에 대한 불안이나 최면에 대한 저항현상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이럴 때는 그러한 문제를 사전에 잘 다루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불안이나 저항은 어쩌면 피최면자의 불안을 반영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최면사는 오히려 그 불안에 대해서 정확.. 마음과 심리마당/최면 2008.12.22
마음의 힘, 최면의 힘 인간은 늘 에너지를 남기면서 살아간다. 그 에너지는 일종의 정신에너지라고 할 수 있는데 생활 속에서 매순간 방출되는 에너지는 우리가 의식하지 못하는 가운데 사라져버리는 것 같지만 잠재의식은 추적해낼 수 있다. 그것은 마치 TV나 라디오, 이동통신이 전파를 추적하고 그것을 영상이나 소리로 .. 마음과 심리마당/최면 2008.12.19
무대최면가의 10계명 1. 엔터테이너가 되라. 2. 래포 형성을 잘 하라. 3. 집단역동 (group dynamics) 을 활용하라 4. 긍정성과 개방 마인드를 가지라. 5. 자기만의 카리스마를 개발하고 발휘하라. 6. 관객의 욕구를 제대로 파악하고 만족감을 주도록 하라. 7.프로의식과 비즈니스 정신을 가지라. 8. 유연성과 즉흥성을 발휘하라. 9. 문.. 마음과 심리마당/최면 2008.12.12
나를 더욱 사랑하는 법, 그리고 자기최면 '일상의 보편적 최면현상'이란 개념이 있다. 즉 우리는 일상 생활 속에서 우리가 의식하건 의식하지 못하건 수없이 많은 최면현상을 경험하는데 그것은 누구나 경험할 수 있는 보편적인 것이다. 그래서 그것을 일상의 보편적 최면현상이라고 부른다. 당신은 버스나 지하철을 타고 가면서 다음 정거장.. 마음과 심리마당/최면 2008.12.03
설기문마음경영연구소 - 프로이트 이전의 최면과 이후의 최면 최면, 프로이트가 최면감수성이 높거나, 최면을 잘 활용할 수 있었다면 최면에의 역사는 엄청남 변화를 몰고 왔을 것이다. 19세기 후반에 오스트리아의 정신과 의사였던 프로이트는 당시의 세계 최고의 최면전문가였던 프랑스의 신경생리학자 샤르꼬 (Jean Martin Charcot)로부터 최면을 배운 후에 최면연.. 마음과 심리마당/최면 2008.12.02
최면과 최면현상 최면과 최면현상이 구체적으로 어떤 것인지를 살펴보기로 하자. 무엇보다도 최면이란 암시가 강력하게 작용하는 마음의 상태 즉 피암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최면이란 일상적 정상 상황에서보다 암시가 더 강력하게 작용할 수 있는 마음의 상태를 의미한다. 최면에서는 의식의 비판작용.. 마음과 심리마당/최면 2008.11.30
[스크랩] 최면 분석과 정신 분석 1880년, 오스트리아의 정신과 의사인 브로이어(Joseph Breuer : 1842~1925)는 히스테리 소녀를 치료하면서 새로운 치료기법이 필요함을 깨달았다. 환자는 의식상태에서는 알 수 없었던 증상의 원인을 최면상태에서 밝혀낼 수 있었고, 분명하고도 이성적으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었으며, 저항도 줄어드는 현상.. 마음과 심리마당/최면 2008.1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