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과 심리마당/최면 106

최면? 과학? 마음이라는 동전의 양면 (내 아들의 글)

아래의 글은 미국에서 대학교 3학년을 마치고 지금은 휴학중인 내 아들의 글입니다. 아버지의 입장에서 이 글의 내용을 보고 여러분과 함께 나누고 공개하고 싶어서 이곳에 게시합니다. ************ 저는 미국에서 고등학생를 다니면서 그 시기에 과학에 푹 빠져 있어있었습니다. 그래서 그 당시엔 NLP나 ..

최면 - 최면에 걸리는 것에 대한 저항심리와 불안에 관하여

일반적으로 초보자가 최면을 할 때는 최면에 대한 불안이나 최면에 대한 저항현상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이럴 때는 그러한 문제를 사전에 잘 다루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불안이나 저항은 어쩌면 피최면자의 불안을 반영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최면사는 오히려 그 불안에 대해서 정확..

설기문마음경영연구소 - 프로이트 이전의 최면과 이후의 최면

최면, 프로이트가 최면감수성이 높거나, 최면을 잘 활용할 수 있었다면 최면에의 역사는 엄청남 변화를 몰고 왔을 것이다. 19세기 후반에 오스트리아의 정신과 의사였던 프로이트는 당시의 세계 최고의 최면전문가였던 프랑스의 신경생리학자 샤르꼬 (Jean Martin Charcot)로부터 최면을 배운 후에 최면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