홧병은 결국 분노를 비롯한 부정적 정서의 문제때문에 생기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홧병은 결과적으로는 신체적
증상이지만 근원적으로는 심리적인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심리적인 문제란 쉽게 말해서 마음의 문제를 말하는 것인데 그 문제의 핵심은
바로 부정적 정서이다. 부정적 정서란 마음 속에서 경험하는 분노, 슬픔, 우울, 외로움, 죄책감과 같은 것인데 이들은 한결같이 심리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일으키며 고통을 유발하는 정서이다. 그리고 이러한 심리적인 문제는 대부분 신체적 증상을 동반하기 때문에 표면적으로는
생물학적-의학적인 문제로 보이지만 그 원인 자체가 심인성이기에 진단과 치료가 어렵다고 하겠다.
우리나라에는
예로부터 홧병이란 것이 있어왔다. 홧병은 우리 나라 사람들에게서 독특하게 나타나는 마음의 병이란 점에 대해서는 이론의 여지가 없을 것이다. 물론
이 홧병은 기본적으로 ‘한(恨)’이라는 것에서부터 생기는 것인데 그 한은 바로 심리적인 문제이다. 즉 진정으로 원하지만 그것을 이룩하지
못함으로써 갖게 되는 마음의 응어리가 곧 한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이 홧병은 단순히 마음의 병으로만
끝나지 않고 신체적인 고통이나 문제를 유발시킨다는 특징이 있다. 대표적으로 위장장애, 두통, 가슴의 통증과 같은 증상을 보인다. 그래서 이러한
증상과 관련해서 심인성 장애 또는 신경성 질환이라는 이름으로 부르고 있다. 여기서 우리는 심신상관성(min-body connection)의
원리를 읽을 수 있다. 즉 마음의 작용은 몸의 기능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한편 홧병은 1995년 미국정신의학회에서
‘hwa-byung’이라는 한국식 표현으로도 공인받은 바 있을 정도로 국제적으로도 알려져 있다. 실제로 미국정신의학회에서는 홧병을
한국민속증후군의 하나인 분노증후군으로 설명되며 분노의 억제로 인해 발생한다." 고 홧병을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을 볼 때 홧병은
그만큼 우리 나라 사람들에게서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증상이라는 점을 알 수 있을 것 같다. 이처럼 홧병이 특히 우리나라에서 보편적인 것은 아마도
자기억제를 강조한 우리의 오랜 유교문화 때문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특히 여성에게 많은 것은 역시 유교적인 문화에서의 남성위주의
가부장적인 가족의 구조와 사회분위기와 무관할 수가 없을 것이다. 특히 시집살이를 하는 며느리로서의 마음의 응어리는 홧병의 가장 큰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그런데 앞에서 홧병은 한에서 유래된다고 하였다. 그렇다면 이 홧병과 한이라는 두 가지의 차이는 무엇일까? 아마도
한은 과거적 정서이며 홧병은 현재적 정서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 정서들은 모두 부정적 정서에 해당한다고 하겠다. 한의 경우는 자신이
추구하고 바라던 소망을 이룩하지 못함으로써 생기는 부정적 정서의 총합 또는 응어리로 마음 속에 내재된 경험이라면 홧병은 그것이 현재적으로
나타나는 경험이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어떤 식으로 설명하든 이들은 모두 부정적 정서 경험의 다른 형태요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홧병은 치유될 수 있다. 왜냐하면 그것은 마음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마음의 문제는 NLP, 최면치료와 같은
방법으로 효과적으로 치료될 수 있다. 희망을
갖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