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과 심리마당/NLP

[스크랩] 흔하게 쓰이는 NLP의 용어들

설기문 2008. 12. 9. 20:43

NLP에서의  용어 해설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데, 이는  NLP적 용어들이 일반적인 개념의 해설로는 완벽하게 이해하기가
어려운 점이 있기 때문에 다소 낯설은 느낌을 가지기가 쉬울 것 같아서 일반인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NLP에서 많이
활용되는 용어들을 소개해 봅니다.


접근 단서 (Accessing Cues): 우리가 특정한 생각을 하거나 특정한 방향으로 생각하게 되면
   호흡이나 자세, 몸짓, 눈동자의 움직임이 변한다.
   그러므로 그 변화를 보면 상대방의 생각이나 생각의 방향을 짐작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그러한 변화를 접근단서라고 하는데 이를 달리 표현하면,
   접근단서란 호흡, 자세, 몸짓, 눈동자의 움직임을 통해서 자신의 신체적 조건을 내적인 생각이나
   그 생각의 방향과 어떻게 맞추느냐 하는 것과 관련된다.  

 

닻 (Anchor): 반응을 불러내는 모든 자극. 닻이 우리의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 

 

닻 내리기 (Anchoring): 하나를 다른 것과 연결시키는 과정. 이 과정에서 닻은 자연발생할 수도 있고 의도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연합 상태 (Associated State): 어떤 경험 안에 들어가서 당신의 마음의 눈으로 보고 모든 감각을 동원해서 하는 경험하는 것. 

 

행동 (Behaviour): 우리의 사고 과정을 포함하는 모든 활동. 신경학적 차원의 한가지. 

 

신념 (Beliefs): 자기자신, 타인, 세상, 그리고 세상의 운영 원리에 대해 일반화하는 개념. 신경학적 차원의 한가지. 

 

신체 언어 (Body Language): 말이나 소리가 아닌 몸으로 의사를 전달하는 방법.

   예를 들면 자세, 몸짓, 표정, 외모, 접근 단서 등. 

 

계측? 측정 (Calibration): 상대의 비언어 신호를 읽고 그의 상태를 정확하게 인지하는 것. 

 

능력 (Capability): 어떤 일을 수행하기 위한 성공 전략. 일종의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신경학적 차원의 한가지.

 

유목화- 차원바꾸기? (Chunking): 차원을 오르내리면서 지각을 변화시키는 방법.


메타 모형은 구체적인 사례에 대해 질문함으로써 주어진 언어로부터 아래로 내려가므로 상향유목화라 할 수 있다.

   그리고 밀턴 모형은 많은 구체적인 사례를 포괄적이고 일반적인 문장 구조로 바꿈으로써
   주어진 언어로부터 위로 올라가는 것으로 하향유목화라고도 한다.  

 

일관성 (Congruence): 신념, 가치관, 기술, 그리고 행동의 일관성. 자신과의 래포를 이룬 상태. 

 

의식 (Conscious): 현재 인식하고 있는 모든 것. 

 

교차 일치시키기 (Cross-over Matching): 어떤 사람의 신체 언어에 맞추어 다른 방식으로 일치시키는 것.
   예를 들어 상대방이 말하는 일정한 리듬에 따라 발장단을 두드리는 것과 같이

   타인의 동작과 다른 방식으로 일치해나가는 방법. 

 

생략 (Deletion): 말이나 생각을 할 때 경험의 일부를 제외시키는 것. 

 

분리 상태 (Dissociated State): 경험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바깥쪽에서 보거나 듣고 있는 상태. 

 

왜곡 (Distortion): 경험을 다른 것으로 변화시키는 것.

 

환경 (Environment): 우리가 처한 장소와 시간 그리고 함께 하는 사람들. 신경학적 차원의 한가지. 

 

안구 접근 단서 (Eye Accessing Cues): 눈동자가 특별한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시각,

   청각 또는 신체 감각의 사고를 나타내는 신호. 

 

일차적 입장 (First Position): 자신의 관점으로만 세상을 지각하는 것. 자신의 내면적 실재와 접촉하고 있는 상태. 

 

일반화 (Generalization): 어떤 특정한 경험이 모든 류의 경험을 대표하게 되는 과정. 

 

정체성 (Identity): 자아상 또는 자아관. 스스로 생각하는 자기자신. 신경학적 차원의 한가지. 

 

시간 내재형 (In Time): 과거는 우리 뒤쪽에,
   미래는 앞쪽에 있으며 현재는 우리 몸을 지나쳐가는 시간선 (time line) 을 말하는 것. 

 

비일관성 (Incongruence): 자기자신과의 래포를 이루지 못함으로써 내부적인 갈등이 행동으로 표출되는 상태.
   연속적인 비일관성의 예는, 어떤 행위에 그와 모순되는 다른 행위가 뒤따라오는 경우이다.
   동시적 비일관성의 예로는, 말로는 동의하면서도 그 목소리가 회의적인 분위기를 풍기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신체 감각 (Kinesthetic): 기본적으로 신체적인 감각, 촉각을 말하지만 동시에 기억된 감각상태, 정서,
   균형 감각 등과 같은 내적 감정을 의미하기도 한다.  

 

유도 체계 (Lead System): 저장된 정보에 접근하기 위해 사용하되 표상 체계. 예를 들어,
   축제일 광경을 내적 그림으로 떠올리다보면그와 관련한 모든 경험이 되살아 나올 수가 있다.
   여기서 바로 축제일 광경의 내적 그림이 바로 유도 체계이다. 

 

이끌기 (Leading): 충분한 래포를 바탕으로 상대로 하여금 당신 자신의 변화된 행동에 따라오도록 하는 것. 

 

실재 지도 (Map of Reality): 각자의 개인적 지각과 경험으로 부터 만들어지는 세상에 대한 독특한 표상. 

 

일치시키기 (Matching): 래포 상태를 증진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상대방의 행동, 기술, 
   신념 또는 가치관의 일부를 받아들이거나 그대로 따라함으로써 일치시키는 것. 

 

메타 모형 (Meta Model): 보편적인 모방하기 (modelling) 원리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언어 모형.
   즉 언어를 경험과 연결시키는 일련의 언어 양식과 질문.
   (여기서 언어는 추상적인 성질을 띠고 경d험은 구체적인 성질을 띤다 -역자주) 

 

은유 (Metaphor): 어떤 이야기를 간접적으로 의사소통하거나 비교해서 표현하는 형식.
   NLP에서의 ‘은유’는 직유, 이야기, 비유, 그리고 풍자를 포함한다. 

 

밀턴 모델 (Milton Model): 메타 모형과는 반대로, 의도적으로 미묘한 언어 형식을 사용해서 상대방의 경험 속에 들어가
   그의 무의식적 자원에 접근하는 것을 말한다. (구체적인 경험을 추상적인 언어로 연결하는 것을 말한다 - 역자주)  

 

불일치시키기 (Mismatching): 상대방과의 상호작용 (만남이나 대화),
   또는 상대방의 태도를 변화시키거나 방해하거나 끝내고자 하는 목적으로 그와는 다른 행동 양식을 취하는 방법. 

 

모방하기 (Modelling): 어떤 사람의 목표 달성을 가능하게 했던 일련의 아이디어와 행동을 추려내는 과정으로 NLP의 기본임. 

 

다중관점적 진술 (Multiple Description): 같은 사건을 보는 여러 가지 관점을 갖는 지혜. 세가지 입장이 있다.
   일차적 입장은 자신의 현실이며, 이차적 입장은 상대방의 현실,
   그리고 삼차적 입장은 초연한 관점이다. 이 세 가지 모두를 갖는 것을 다중 관점라고 부른다. 

 

신경 언어 프로그래밍 (Neuro-Linguistic Programming): 수월성에 대한 연구이며,
   사람들이 어떻게 자신의 경험을 구성하는지를 설명하는 것이며 주관적 경험의 구조에 대한 연구 체계이다. 

 

신경학적 차원 (Neurological Levels): 경험의 여러가지 차원들을 말하는 것으로
   이것에는 환경, 행동, 능력, 신념, 정체성, 그리고 영성이 있다. 

 

명사화 (Nominalization): 동사를 추상 명사로 바꾸는 과정을 뜻하는 언어학 용어. 예를 들어,
   ‘관련한다’라는 동사를 ‘관계’라는 명사의 형태로 명사화시켜서 결과적으로 하나의 과정이 고정된 것으로 되었다.

 

성과 (Outcome): 구체적인 감각에 근거를 두는 바람직한 목표.

   일단 당신이 성과를 달성하면 무엇을 보고 듣고 느끼게 될지 알게 된다.  

 

보조 맞추기 (Pacing): 상대방과 한동안에 걸쳐 그가 가진 세상의 틀속에서 만나면서 래포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것. 

 

긍정적 의도 (Positive Intention): 어떤 행동이나 신념 뒤에 숨은 긍정적인 목적. 

 

술어 (Predicates): 어떤 상상 체계의 사용을 드러내는 감각에 근거한 단어. 

 

선호 표상 체계 (Preferred Representational System): 어떤 사람이 의식적으로 사고하고 자신의 경험을 조직화하기 위하여,
   시각, 청각, 신체감각 등의 표상체계 중에서 대체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표상 체계.

  

전제조건 (Presuppositions) : 전제된 생각이나 신념. 즉, 우리는 그것을 당연하게 받아들이고 그에 따라 행동한다. 

 

래포 (Rapport): 자신이나 타인들과의 신뢰 관계 

 

표상 체계 (Representational System): 우리가 시각, 청각, 신체 감각, 후각 그리고 미각 등의 감각을 사용하여
   내면에서 정보를 표상하는 여러 가지 통로. 

 

자원 (Resources): 성과를 얻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것.
   예를 들면, 생리 기능, 상태, 사고, 신념, 전략, 경험, 사람, 사건, 소유물, 장소, 이야기 등등. 

 

이차적 입장 (Second Position): 상대의 관점에서 세상을 보면서 어느 정도까지 그의 실재를 이해하는 것. 

 

자기 모방하기 (Self Modelling): 자신의 우수한 상태를 자원으로 이용하기 위해 스스로를 모방한는 방법. 

 

감각적 민감성 (Sensory Acuity): 우리가 세상으로부터 얻는 감각 정보를 보다 정교하고 유용하게 구분할 수 있는 과정 

 

영성 (Spiritual): 진정한 자신이 되고 자신의 본질을 경험하면서
   타인들과 가장 잘 연결되어 있는 경험을 하는 차원. 신경학적 차원의 한가지. 

 

상태 (State): 사고, 느낌, 감정, 신체적, 정신적 에너지의 총체. 

 

전략 (Strategy): 특정한 성과가 일관되게 나타날 수 있게 하는 반복 가능한 사고와 행동의 계열. 

 

하위양식 (Submodalities): 각 표상 체계 내에서 좀더 구체적이고 섬세하게 구분하는 것. 사고의 가장 작은 기본 단위. 

 

삼차적 입장 (Third Position): 초연한 관찰자의 관점에서 세상을 인식하는 것.

 

시간선 (Timeline): 우리의 과거를 미래와 연결하는 선.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의 내적 그림, 소리, 느낌을 저장하는 방식. 

 

트랜스 (Tance): 일시적으로 자신의 내부에 확고하고 일정한 주의를 집중함으로써 일어나는 변형된 상태.  

 

무의식 (Unconscious): 현재의 각성 상태에 속해있지 않는 모든 것.

출처 : 설기문NLP트랜스넷
글쓴이 : 샘물 설기문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