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과거에 심리치료의 한 방법으로서 EMDR에 대해서 책을 읽었고 또 공부를 한 적이 있습니다.
하지만 NLP와 최면에 대한 관심과 흥미가 더 컸기 때문에 덮어두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그를 통하여 나는 새롭게 EMDR을 되돌아보면서 EMDR의 가능성을 다른 시각으로 보게되었습니다.
그리고 또 그 과정에서 EMDR을 좀 더 쉽게 할 수 있는 방법을 탐색하였습니다.
그 과정에서 새롭게 만난 것이 또한 EMT였습니다.
EMT를 공부하면서 EMDR과는 다른 맛과 흥미, 효과를 경험했습니다.
사실 EMDR도 탁월한 치료기법이지만 그것에 비할 때 EMT는 더욱 손쉽고 우수한 기법이어서
스스로도 감탄사가 절로 날 때가 많습니다.
EMDR과 관련해서는 이미 우리나라에도 꽤 소개가 되어 있습니다.
EMDR을 소개하는 단행본도 번역서나 저서의 형태로 출판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많은 치료자들이 EMDR을 공부하고 특히 의료현장에서 활용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EMT는 아직 전혀 소개가 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어쩐 일일까요?
이상에서 소개한 EMDR이나 EMT도 따지고 보면 EFT와 유사성이 많이 있습니다.
그리고 NLP나 최면과도 상통하는 부분이 많이 있습니다.
그렇기에 우리들 회원님들에게는 아주 좋은 공부가 될 것이며 새로운 기법으로서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합니다.
그래서 나는 연말 강좌를 통해 나름대로 그동안 연구해온 것들을 새롭게 선보이려는 의지도 가지고 있습니다.
EMDR이나 EMT역시 모두 심리학자들이 개발한 것이라는 것에 대해 심리학자인 나 역시 자부심을 느끼고 있습니다.
새로운 것을 알아간다는 것은 좋은 일입니다.
그리고 새로운 것을 널리 전파하고 함께 나눈다는 것은 더욱 좋은 일입니다.
여러분이 있어 즐겁고 행복한 일들을 함께 할 수 있어 더욱 행복한 마음입니다.
기대하는 마음으로 함께 할 날을 기다립니다.
그리고 아랫글은 EMDR에 관한 설명을 wikipedia에서 발췌해서 간단히 번역했습니다.
도움 되시길 바랍니다.
EMDR은 Eye Movement Desensitization and Reprocessing의 약자이다.
EMDR을 우리말로 표현한다면 ‘눈동자 움직임 둔감화와 재처리’ 정도로 번역할 수 있을 것 같다.
이것은 원래 트라우마 경험을 가진 사람들을 대상으로 마음의 상처를 치료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기본적으로 눈동자를 움직임으로써 민감한 트라우마와 관련한 부정적 정서를 둔감화시키고 기존의 좋지않은 무의식적 정보를 재처리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처럼 EMDR은 내담자가 과거에 경험했던 한 트라우마적 사건들이나 해결되지 않은 문제들로
인해서 생기는 증상들을 완화시키기 위해 개발된 심리치료 기법중 하나이다.
EMDR에서는 단계적인 방식으로 좋지 않은 사건들의 과거와 현재와 미래를 파악한다.
이 방식은 1980년대 미국의 심리학자인 사피로 (Francine Shapiro) 박사에 의해
성폭행같은 트라우마관련 증상들의 발전을 막기 위해 개발되었다.
사피로 박사는 수많은 임상실험을 통하여 PTSD 즉 외상후스트레스증후군 환자에게 EMDR의 치료효과를 검증하였다. 몇몇 연구에 의하면 EMDR이 인지-행동 치료에서와 같거나 비슷한 정도의 효과를 보였고 다른 몇몇 치료방식보다는 더욱 효과적인 결과를 보였다.
하지만 이런 EMDR의 효과들에 대해서 의문을 제기하는 다른 학자들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EMDR은 국제적으로 크게 활용되고 있고 학문적으로도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Eye movement desensitization and reprocessing (EMDR) is a form of psychotherapy that was developed to resolve symptoms resulting from disturbing and unresolved life experiences. It uses a structured approach to address past, present, and future aspects of disturbing memories. The approach was developed by Francine Shapiro[1] to resolve the development of trauma-related disorders as resulting from
exposure to a traumatic or distressing event, such as rape. Clinical trials have been conducted to assess EMDR's efficacy in the treatment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citation needed] In some studies it has been shown to be equivalent to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and exposure therapies, and more effective than some alternative treatments (see effectiveness sections below). However
, the effectiveness of the mechanisms behind EMDR have been questioned, with most leading researchers concluding that cognitive restructuring (which is common in most therapies for PTSD), rather than the eye movements, are responsible for change. Although some clinicians may use EMDR for various problems, its research support is primarily for disorders stemming from distressing life experiences)................ from wikipedia
'마음과 심리마당 > NLP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흔하게 쓰이는 NLP의 용어들 (0) | 2008.12.09 |
---|---|
NLP에서의 베잇슨의 영향 (0) | 2008.12.08 |
NLP - 선택할 수 있음의 행복 (0) | 2008.12.04 |
NLP와 뇌과학 (0) | 2008.12.03 |
NLP의 교육적 활용과 NLP적 적용 (0) | 2008.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