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과 심리마당/NLP

NLP와 뇌과학

설기문 2008. 12. 3. 13:03

 

 

 

 NLP의사소통모형을 통해서 우리는 심신상관성의 원리를 찾아볼 수 있는데

심신상관성이란 마음과 몸이 하나의 체계로 서로 연결 되어 있음을 말해주는 개념이다.

이 심신상관성의 개념에 있어서 뇌의 역할, 작용, 기능은 지대하다.

NLP는 이러한 심신상관성에 기반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뇌과학을 잘 활용한다고 볼 수 있다.

 

인간은 신경계로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는데 신경계는 중추신경과 말초신경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중추신경의 핵심이 곧 뇌임은 말할 나위가 없다.

뇌의 작용은 중추신경계의 또 다른 기관인 척수를 통하여

신체 각 부위와 연결된다. 그리고 말초신경계는 체성계와 자율신경계로 구분된다.

여기서 자율신경계는 의지나 의식과 상관없이 이루어지는 생리적 기능 및 반응과 관련된다.

그런데 NLP의 심신상관성의 논리는 사람의 생각이나 마음은 세 가지의 체계

즉 자율신경계, 내분비계, 면역계를 통하여 주요한 신체 기관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통해서도 잘 나타나고 있다.

 

그런데 이 모든 일들은 뇌작용의 연장선상에서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자율신경계는 거미줄과 같이 인체의 모든 부분을 관통한다.

이것은 두 가지 형태 즉 교감신경계와 부교감신경계를 통하여 작용한다.

교감신경계는 인체로 하여금 도전이나 위험한 상황에서 잘 대처할 수 있도록 준비시키는 기능을 한다.

신경계의 마지막 부위인 신경종말은 신경전달물질을 분비하며

이는 곧 부신을 자극하여 강력한 호르몬인 노르에피네프린과

에피네프린을 분비시킴으로써 심장박동과 호흡수가 증가하게 되고

위장의 산 분비를 통한 소화 작용이 영향을 받게 된다.

이때 위장 내에서는 부교감신경계가 힘을 잃음으로써 불안한 감정이 찾아오게 된다.

 

교감신경계와는 반대로 부교감신경계는 이완 기능을 담당하는데

교감신경종말은 맥박과 호흡수를 떨어뜨리는

다른 신경전달물질을 분비함으로써 안락감, 이완, 수면과 같은 현상을 유발하게 된다.

우리가 편안한 자세로 음악을 들으며 기분 좋은 환상에 빠질 때 몸을 이완시키는 것은

바로 부교감신경계라고 할 수 있다.

NLP에서의 앵커링(anchoring)의 기법은 대표적으로 부교감신경계를 활성화하고

불안이나 슬픔과 같은 부정적 정서로 인하여 유발되는 교감신경계의 활동을 약화시키거나 무력화시킴으로써

부정적 정서를 극복하고 보다 자신감있고 강력한 삶의 에너지를 경험하도록 도와준다. 그 외에 NLP에서의 변화를 위한 다양한 기법들은 기본적으로 교감신경계의 활동을 억제하고 부교감신경계의 활동을 촉진하는데 기여한다. 특히 성공이나 성취, 행복과 관련되는 긍정적인 생각을 하게 함으로써 뇌에 긍정적인 IR을 형성하는 각종 NLP 기법들은 결과적으로 긍정적인 정서상태를 경험하게 하고 그로 인해서 긍정적인 신경전달물질이 분비되게 하며 아울러 긍정적인 신체/생리적 반응이 유발되게 하는데 이 모든 과정은 결국 NLP의 변화작업들이 교감신경계를 활성화하는 과정과 일치한다는 점을 잘 보여준다고 하겠다.

 

한편 자율신경계와 밀접하게 관련되는 것은 내분비계인데 이는 성장, 활동 수준, 성(性)적 기능을 통제하는 물질인 호르몬을 분비하는 많은 신체기관으로 구성된다. 내분비계는 개인의 생각을 실제적인 신체적 감정과 행동으로 전달한다.

그것은 또한 엔돌핀과 엔케팔린(enkephalin)으로 알려진 일종의 진통제 역할을 하는 호르몬을 분비한다.

이러한 호르몬들은 스트레스와 통증에 대한 개인의 반응들을 조절하며 학습과 기억의 과정뿐만 아니라

기분과 욕구에 까지 영향을 미친다. 뇌의 밑바닥에 있는 뇌하수체는 전체 내분비계를 관장하는 센터이다.

부신은 신장(콩팥) 위에 자리잡고 있는데 이는 코르티코스테로이드 (corticosteroid) 로 알려진 호르몬을 분비한다. 그리고 이러한 많은 것들은 교감신경계처럼 기능하며 인체가 행동에 돌입할 수 있도록 준비시키는 기능을 한다. 면역계는 인체 전체를 통하여 영향을 미치는 세 번째 주요 체계이다.

이것은 몸에 해를 끼치는 박테리아나 바이러스와 같은 외부의 항원과 종양세포와 같은 내부의 항원으로부터 인체를 방어함으로써 건강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주된 기능으로 삼는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뇌를 포함하는 자율신경계, 내분비계, 면역계 이 세 가지는 서로 얽혀있다.

이 세 가지 체계는 뉴로펩티드라고 불리는 단백질로부터 만들어지는 신경전달물질을 통하여 정보를 교환한다. 이들 체계는 적당한 화학적 성분을 함유하는 신경전달물질을 다른 세포의 수용기에 정확하게 진입하도록 맞추어 줌으로써 효과를 발휘하는데 그 효과는 구체적으로 나타난다.

지금까지 60 여 가지가 넘는 서로 다른 뉴로펩티드가 확인되었으나 전체적으로 얼마나 많이 있는지는 알지 못한다. 대뇌의 변연계는 정서를 다루는데 이것은 뉴로펩티드를 위한 중심지점이다(Pert 외, 1985). 신경계, 면역체, 내분비계들은 모두 뉴로펩티드를 생산하고 수용한다. 그리고 어떤 순간에라도 특정한 수용기와 결합되기를 기다리면서 온몸을 떠다니는 뉴로펩티드는 인체 안에 많이 있다.

뉴로펩티드와 수용기가 연결되는 생화학적 작용을 통하여 정서가 유발된다.

 

면역계 세포들은 모든 뉴로펩티드를 위한 수용기가 있다.

그리고 그 세포들은 한때 뇌에서만 발견되는 것으로만 믿어졌던 동일한 타입의

뉴로펩티드 호르몬을 생산하기도 한다 (Blalock, Harbour-McMenamin, & Smith, 1985).

면역계는 자신의 뉴로펩티드 수용기를 통하여 인체의 정서에 귀를 기울인다.

그리고 그것은 신경전달물질을 통하여 뇌에 신호를 보내며 뇌는 같은 방식으로 면역계에 영향을 미친다.

뇌는 면역계의 반응을 적극적으로 감시하고 그것이 보이는 반응에 대해 적절히 대응을 한다.

면역계와 뇌 사이에는 보다 직접적이고 놀라운 연결관계가 존재한다.

어떤 면역계 세포는 뇌에 들어가서 뇌 내의 결합세포의 일종인

글리아 세포 (glial cells)로 바뀐다. 면역계 세포들도 부신을 자극하는

호르몬 (ACTH와 같은)을 생산한다 (Smith, & Blalock, 1981).

신경계, 내분비계 및 면역계는 모두 함께 기능을 발휘하면서 사람의 생각을 생리적 반응으로 전환한다.

그 예로써 만약 우리가 사랑하는 사람을 마음속으로 생각하면서 심상을 그린다면

설레이는 마음으로 가슴은 더욱 빨리 뛰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결은 면역계와의 사이에도 이루어지는지는 것으로 보인다.

즉 신경계와 면역계는 동일한 뉴로펩티드와 더불어 동일한 방식으로 그들의 메시지를 전달하기 때문에

나름대로의 효과가 있을 것은 틀림없다. 이로써 면역계에는 사람의 생각과 정서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며

영향을 받기도 하는 메커니즘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사람의 마음과 지성은 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온 몸 전체에 퍼져있는 것으로 보인다.

‘국제뇌신경저널’에 소개된 다음과 같은 재미있는 실험의 예를 보면 우리가 마음의 상상을 통하여

면역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Hall 외, 1992).

이 실험에서 연구자들은 학생들에게 자기최면과 시각화 훈련을 시키고 면역세포의 특별한 기능에 대해서 설명을 해주었다. 이때 모든 학생들은 이러한 세포의 충실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개인적 심상을 만들었다.

실험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실험설계는 면밀하게 이루어졌으며 이에 따라 학생들은 모두 서로 다른 방식으로 심상을 만들었다. 2주간이 지난 후에 침과 혈액 샘플을 채취하여 면역계 세포의 기능을 알아보기 위한 테스트를 거쳤으며 실험 전과 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면역세포가 외부의 항원에 대처하는 능력이 더욱 크게 증진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우리는 뇌를 중심으로 하는 신경계, 내분비계, 면역계의 상호관련성은 심신상관성을 보여주는

생리적 기제라는 점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으며 이러한 모든 논리에 있어서 다시 한번 NLP의 원리와 치료기법의 유용성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한 것을 확인할 수 있는 대표적인 예가 바로 NLP 알레르기치료법이다.

 

 위의 글은 "NLP와 뇌과학"이라는 주제로 쓴 설기문 교수의 논문입니다.

정신과학회에 발표한 논문으로서 daum카페 http://cafe.daum.net/trancenet

전문자료실방에 있으니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인용이 필요한 경우에는 반드시 출처를 밝히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