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처증이나 의부증을 떠 올린다면 그 상대편 배우자가 너무나 힘들 것이라는 생각을 하게 되지만
막상 그 당사자들의 고통은 때로 죽음까지 생각하게 된다고 한다.
며칠 어느 중년 여성분이 상담을 의뢰해왔다.
며칠 어느 중년 여성분이 상담을 의뢰해왔다.
자신은 남편을 몹시 사랑하는데 남편이 결혼초기부터 다른 여자를 만나는 것 같다고....
그리고 남편은 아니라고 극구 변명하지만 자신에게는 여러가지 심증과 물증이 있기에
이혼이라도 할까 싶지만 아이들 문제도 있고 또한 자신이 남편을 너무나 사랑하기에
이혼만은 피하고 싶다고 하면서 남편의 바람끼를 잠재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담을 신청하니 부디 좋은 결과를 얻어 남편이 자신만 사랑하며 다른 여자로부터
멀어지게 되도록 마음을 돌려 달라는 것이었다.
우선 듣기에 그녀의 말은 대단히 논리 정연해서 남편이 정말 외도를 하는 것 같았지만
막상 상담을 하기 위해 만나 본 그녀의 남편은 대단히 이성적이고
아내를 사랑하며 아내의 끝없는 의부증 때문에 너무나 괴로운 하루 하루를 보낸다고
하소연했다. 일단 심리검사를 통해 그들의 문제를 파악해 보는 것이 좋을 것 같아서
전문심리검사지를 통한 심리검사를 실시했다.
심리검사 결과, 남편은 지극히 정상적인 정서를 가진 분으로 드러났고
아내의 심리검사 결과는 대단히 정상과 먼 수치를 보였다.
그녀는 강박증과 집착이 심한 상태였고 또한 자신에 대한 자기존중감이 대단히 낮았다.
타인에 대한 신뢰도도 낮아서 어렵고 힘든 상황이 오면 자신을 도와 줄 사람 또한 없다는
아내의 심리검사 결과는 대단히 정상과 먼 수치를 보였다.
그녀는 강박증과 집착이 심한 상태였고 또한 자신에 대한 자기존중감이 대단히 낮았다.
타인에 대한 신뢰도도 낮아서 어렵고 힘든 상황이 오면 자신을 도와 줄 사람 또한 없다는
생각 속에 사로잡혀 있었다. 이런 경우엔 대부분 그분이 자라 온 성장 배경을 돌아보는
경우가 많다. 유년기에 충분히 존중 받고 사랑 받지 못한 사람들은 흔히 자기자신에
대한 존중감이 낮은 경우가 많다.
어린 마음 속의 상처는 성인이 되어서도 아물지 않고 끊임없이 사람에게 집착하는
어린 마음 속의 상처는 성인이 되어서도 아물지 않고 끊임없이 사람에게 집착하는
관계중독(인간관계중독)및 다양한 중독 현상을 경험하게 되기도 하고
편집증이나 강박증의 형태로 나타나서 주변 사람들을 힘들게 하는 경우도 많다.
상담현장에서 바라보는 모든 심리적 병리현상의 언저리에는
어린시절의 상처나 아픔이 남아서 지속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경우가 많다.
의처증 역시 마찬가지이다.
여자와 남자라는 것의 성별을 제외하면 증상은 같아지는 것이다.
최고학부를 졸업하고 대기업의 간부로 있는 어느 남자분의 경우 역시 마찬가지였던 적이 있다.
그는 하루에 수십번씩 아내에게 전화를 하고 무엇을 하고 있는지,
어디에 있는지를 확인하며 집에 있는지, 외출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집 전화와 휴대전화를 번갈아가며 전화를 한다고....
견딜 수 없는 아내가 이혼을 제의했고, 그 역시 자신이 의처증 증세를 가지고 있음을
견딜 수 없는 아내가 이혼을 제의했고, 그 역시 자신이 의처증 증세를 가지고 있음을
인지하며 고치고 싶다고 하소연하여 심리치료를 받은 적이 있다.
의처증이나 의부증에 시달리는 사람들이 의외로 많음을 본다.
그런 상담들은 대개가 성장배경을 의심해 보는 경우가 많다.
어린 시절, 부모로부터 제대로 사랑받지 못한 사람들은 배우자를 통해
어린 시절, 부모로부터 제대로 사랑받지 못한 사람들은 배우자를 통해
그 사랑을 충족시키려는 경향이 있다.
사랑받지 못함과 때로는 어른들이 없는 상태에서 홀로 경험한 불안감이나 공포는
사랑받지 못함과 때로는 어른들이 없는 상태에서 홀로 경험한 불안감이나 공포는
짧은 시간이라 하더라도 아이에게는 엄청난 정신적 공황상태를 몰고 올 만큼 영향이 크다.
그리고 그 불안감은 잠재의식이라는 창고에 가라앉아 시시때때로 그들을 괴롭히고
그리고 그 불안감은 잠재의식이라는 창고에 가라앉아 시시때때로 그들을 괴롭히고
순간순간 그 사람이 앞으로 나아갈 때 발목을 잡는 걸림돌이 되는 것이다.
상담을 할수록 뼈저리게 느껴지는 것이 부모의 역할이다.
어느 부모라하더라도 자식에 대해 최선을 다하며 자녀를 양육한다.
그러나 아이는 어느 한 순간 부모의 시선이 닿지 않은 곳에서 상처받고 신음하는 경우가
많다. 의처증이나 의부증의 상담은 대체로 어린시절로 시간퇴행을 한다.
그리고 그 속에서 상처받고 놀라고, 불안했던,외로웠던,힘들었고 공포스러웠던 순간들을
내담자의 무의식을 통해 찾아낸다. 찾아 낸 그 기억들을 새롭게 편집하고 수정하면서
그 기억들을 지우고 지우며 상담 작업을 해 나가는 것이다.
그리고 그 속에서 상처받고 놀라고, 불안했던,외로웠던,힘들었고 공포스러웠던 순간들을
내담자의 무의식을 통해 찾아낸다. 찾아 낸 그 기억들을 새롭게 편집하고 수정하면서
그 기억들을 지우고 지우며 상담 작업을 해 나가는 것이다.
그들은 최면치료를 통해 거듭나게 되는 것이다.
최면상담, 혹은 최면치료라는 것은 잠재의식 속에 억압된 눌린 자아를 찾아내는 작업이며
이는 심리학적 배경이 든든한 상담자가 상담을 하는 것이 좋다.
심리상담학적 배경은 내담자를 안심시키며 래포를 쉽사리 형성하며
상담에 대한 신뢰를 높이고 상담자에 대한 믿음을 강화시켜주기도 한다.
자신의 상처의 근원을 알아내는 것은 상담과정에서 대단히 중요하다.
의처증이든 의부증이든 이러한 현상은 배우자도 괴롭지만
의처증이든 의부증이든 이러한 현상은 배우자도 괴롭지만
사실 당사자도 너무나 괴로운 일이다.
그러한 괴로움을 상담이라는 도구를 통해서 벗어날 수 있다는 점에서
우리는 참 의미있는 일을 한다고 생각한다.
그러한 괴로움을 상담이라는 도구를 통해서 벗어날 수 있다는 점에서
우리는 참 의미있는 일을 한다고 생각한다.
최면치료의 파워는 그러한 잠재의식에 접근할 수 길이 최면을 통해 열려 있으며
심리학적, 상담학적 지식 속에서 이끌어가는 상담기법들은 내담자에게 보다 빠르고
강력한 힘을 가진 심리치료 효과를 가져다 주는 것이다.
,
'심리상담사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면 속의 기억 지우기 - 남동생을 닮은 남자 친구 (0) | 2008.05.20 |
---|---|
빙의치료, 빙의,빙의현상속의 상담 (0) | 2008.05.17 |
최면치료와 공황장애, 그리고 공포 (0) | 2008.05.14 |
설기문의 빙의치유의 예 (0) | 2008.05.09 |
금연과 최면치료 (0) | 2008.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