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분들이 최면에 대한 관심은 대부분 정확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최면에 대한 오해로부터 시작되어 개인의 상상력에 의존하는 경우가 대단히 많습니다.
그래서 최면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최면을 배우고자 하는 분들이나
최면을 통한 심리치료, 즉 최면치료라는 것에 대한 생각까지도 많은 오해를 안고 있습니다.
최면이란 무엇인가?
최면이란 암시가 강력하게 작용하는 마음의 상태 즉 피암시 상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최면이란 일상적 정상 상황에서보다 암시가 더 강력하게 작용할 수 있는 마음의 상태를 의미합니다.
최면에서는 의식의 비판작용이 억압되고 집중성이 높아지고 특정 사안에 대한 각성 정도가 고양됩니다.
강력한 힘으로 작용합니다. 그래서 최면은 고도의 피암시 상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둘째로 최면은 몸과 마음이 최대로 이완된 상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루 중에서 몸과 마음이 가장 크게 이완되는 상태가 바로 수면의 상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수면상태에서는 의식도 같이 잠들기 때문에 최면이란 잠들기 직전의 상태처럼
의식은 깨어있으면서도 몸과 마음이 최대로 이완된 상태이기도 합니다.
사실 이 상태에서는 의식은 있기 때문에 고도의 정신집중이 가능한 상태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점 때문에, 최면을 의미하는 영어인 hypnosis란 말을 처음으로 만든 스코틀랜드의 의사였던 브레이드는
최면이란 변형된 의식상태로서 환자가 깊이 이완되면서 동시에 정신을 차리고 있는 상태라고 하였습니다.
이 상태에서는 무의식의 작용이 활성화되어 의식상태에서는 경험하지 못하는 현상들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재론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것은 무의식 상태가 된다고 하더라도 의식은 여전히 깨어있다는 사실입니다.
최면에 대한 가장 큰 오해중의 하나가 바로 이 점입니다.
즉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은 최면에 걸리면 의식은 없어지기 때문에 최면 중에 무슨 일이 일어나고
또 어떤 행동을 하더라도 자신은 모를 것이라고 생각한다는 점입니다.
만약 그것이 사실이라면 최면이란 눈을 감고 귀를 막은 채로 영화를 보는 것과 다를 바가 없을 것입니다.
세상에 눈을 감고 귀를 막은 채로 영화를 볼 사람이 없듯이 아무것도 모르는 가운데 최면이 이루어질 수는 없는데,
다시 말해서 최면상태라 하더라도 의식은 깨어있기 때문에
마치 사람들이 영화관에서 옆 사람과 얘기를 하면서 영화를 보듯이 최면상태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알게 됩니다.
셋째로 최면은 고도의 집중상태입니다.
사람들은 일상 생활 속에서 무의식중에 최면과 같은 트랜스 상태를 많이 경험하지만
그것이 최면 상태와 유사하다는 것을 잘 인식하지 못합니다.
예를 들면, 어떤 일에 집중하거나 몰두할 때
우리는 옆에서 누가 말을 걸어오거나 심지어 전화벨이 울려도 알지를 못합니다.
이는 바로 최면과 같은 상태에 있었기 때문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재미있는 T.V.프로그램을 시청하거나 라디오를 들을 때,
또는 소설을 읽을 때는 그 일에 “정신이 빠져서” 다른 일은 의식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결국 무의식적인 상태에서 어떤 일을 한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이처럼 무의식적으로 무엇을 하는 최면 상태와 같은 경험을 무수히 많이 하면서 살아간다고 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최면은 믿음의 상태입니다.
어린 아이가 배가 아프다고 울면 할머니는 아이의 배를 만지면서 곧 나을 것이라고 말해줍니다.
아이는 할머니의 따뜻한 손을 통해서 사랑을 느끼고 그 손이 자기를 낫게 해줄 것이라는 믿음을 가지면서
이완을 경험하는 가운데 곧 통증에서 벗어나는 경험을 하게됩니다.
아이를 키우다 보면 흔히 있을 수 있는 이런 경험들은 따지고 보면 최면의 원형이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가짜약이라도 그 약을 먹으면 낫는다고 믿을 때
치료의 효과를 발휘하는 위약효과의 경우에도 믿음에 근거한 최면의 효과가 작용한다고 하겠습니다.
그러므로 최면은 곧 믿음의 상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한편, 영어에서는 의미하는 단어로 두 가지가 있는데 그것은 앞에서도 언급한 hypnosis와 mesmerism입니다.
물론 후자의 단어는 현대 최면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오스트리아의 정신과의사인 Mesmer의 이름을 따서
앞의 단어 즉 hypnosis는 “잠”을 의미하는 그리이스말 hypnos에서 시작되었습니다.
그리고 한자어에서도 그 잠의 의미를 살려서, 잠 즉 수면을 의미하는 최면이란 말이 만들어졌으니
고대인들은 최면상태와 잠의 상태를 비슷한 것으로 여겼던 것 같습니다.
위와 같이 최면이란 우리들에게 대단히 자연스러운 마음 상태의 일부분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순간의 기적을 이끌어내는 신비한 도구처럼,
혹은 자신의 의지와 관계없이 눈을 뜨면 기적이 일어나 있는 것처럼 인식하고 있다면 그것은 오해입니다.
최면이란 자신의 의식이 한가지 생각에 고도로 집중하는 상태이기에
스스로의 의지가 없다면 깊은 최면경험을 하기가 어려워집니다.
앞으로 지속적으로 최면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포스팅하여 많은 오해를 걷어내려 하니
관심있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마음과 심리마당 > 최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습코칭에서 활용되는 최면의 가치 (0) | 2012.03.14 |
---|---|
청소년의 자아실현을 돕기 위한 최면특강 (0) | 2010.11.28 |
설기문 교수가 지도하는 NLP와 최면학 전공의 대학원 과정에 도전해보세요! (0) | 2009.10.26 |
상담과 최면, 최면과 상담을 하나로 연결한 설기문교수의 ‘최면상담’ (0) | 2009.10.19 |
최면적인 암시가 갖고 있는 힘과 정서적 추동력 (0) | 2009.1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