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의 의미와 치료적 활용
시간선치료(Time Line Therapy)는 넓은 의미에서 NLP와 최면치료의 범주에 들어간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시간선치료 기법을 통해서 NLP와 최면치료의 효과를 더욱 올릴 수 있다.
특히 NLP와 최면치료로 효과를 잘 보지 못할 때 오히려 시간선치료를 통해서 더 큰
효과를 볼 수도 있다. 그러므로 시간선치료를 잘 활용할 수 있다면 치료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 크게 도움될 것이다.
시간선치료에서의 핵심개념은 역시 시간이란 것이다.
이제 이 시간에 대해서 좀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하겠다.
아래의 내용은 시간선치료의 창시자인 테드 제임스 박사가 밝힌 내용에 근거하여
쓰여진 것이다.
아득한 과거 그리스의 아리스토텔레스 ( Aristoteles ) 시대 때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윌리엄 제임스 (James, W.) 프로이트 ( Freud, S), 융 ( Jung, C.G), 밀턴 에릭슨 (Erickson, M)을
포함하는 심리학자들은 시간에 대한 인간 경험에 많은 흥미를 가졌다.
최근에는 테드 제임스 박사가 창안한 시간선치료라는 하나의 이론모형을 통해 인간의 시간과
관련된 경험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나아가 우리는 어떻게 부정적 정서와 제한적 결심 또는 신념이
우리에게 실제적인 영향을 미칠지에 대해서도 깊이 있게 이해하면서
그것을 변화 시킬 수 있는 방법을 배울 수 있게 되었고 다가올 의미있는,
그리고 자기가 원하는 미래를 창조하는 방법을 알 수 있게 되었다.
인간의 경험은 시간이라는 맥락 속에서 이루어진다.
그렇게 때문에 어떤 행동은 특정한 시간적 맥락에서만이 의미가 있을 수도 있다.
또한 그 시간적 맥락을 벗어났을 때는 같은 행동도 의미를 상실하게 된다.
그것은 인간이 시간적 틀 속에서 살아가기 때문이다.
시간선치료는 과거의 특정 기억과 관련된 또는 과거의 특정한 사건 때문에 경험한
분정적 정서를 과거와는 다른 시간적 관점에서 재경험하게 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시간선치료는 결국 시간적 맥락에서 기억을 재해석하는 과정이라고 볼 수도 있다.
따라서 시간선치료는 시간적 관점 바꾸기 (reframing) 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역사적으로 시간선에 대한 개념은 일찍이 아리스토텔레스와 같은 철학자에 의해 제기되었다.
그리고 20세기의 가장 뛰어난 최면치료가인 밀턴 에릭슨 (Milton Erickson, 1901 - 1980)은
오늘날 시간선치료의 원형에 해당하는 기법을 사용하였다.
특히, 그는 일부 전문가들만이 사용하고 대중들은 거의 접근하기 어려웠던 최면을 실용화 하였다.
그 결과 의료인들도 최면에 대해서 보다 쉽게 접근하고 치료적 수단으로 사용하는 빈도가 늘어남으로써
최면치료가 의료의 한 수단으로 공인 받는데 기여했다.
1960년대 초에 그는 이미 시간선치료와 유사한 최면기법을 사용하고 있었다.
--------------------
설기문 교수의 "시간선치료" (학지사 ) 중에서
'마음과 심리마당 > 최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면 - 모든 최면은 자기최면이다. (0) | 2008.10.28 |
---|---|
설기문 교수의 "최면의 세계" (0) | 2008.10.27 |
설기문 교수의 최면치료 - 밀턴 에릭슨의 역경치료 (0) | 2008.10.15 |
설기문교수의 최면이야기 - 과학으로서의 최면 (0) | 2008.10.12 |
설기문교수의 "최면과 최면치료" - 과학으로서의 최면 (0) | 2008.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