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과 심리마당/빙의치료·전생치료

Dr. Alan Sanderson의 빙의 이야기

설기문 2008. 7. 10. 12:17
본 아카데미의서의 상담실을 통해 바라보는 세상은  우리들의 일상생활은 빙의에
의해 너무나 많은 영향을 받고 있으며 빙의에 의한 고통을 호소하는 내담자들이 많습니다.
대략적으로 우리는 아카데미 상담실에서 이루어지는 일들에 관한 빙의 사례들을 나누어 왔습니다.
그러나, 좀 더 심층적 이해를 돕기 위해  Dr. Alan Sanderson의 이야기를 함께 나누려 합니다.
번역된 글이라 좀 더 이해를 돕기 위해 의역이 된 부분도 있음을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혹 원문이 필요하시다면 올려 놓겠습니다.
감사 합니다.

"현대과학은 "빙의"라는 것이 불가능하고
고대세계에나 존재하던 미신 같은 현상중 하나라고 우리들에게 이해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역사학자들이나 인류학자들 같은 특별한 분야의 사람들이
 관심을 가질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21세기를 살아가고 있는 지금,
여러분께 두 사람의 심리학자들이 "빙의라는 현상이 매우 흔하고
치유될수있는 현상중 하나"라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도대체 이게 무슨 말인가? 라고 질문할 여러분들을 위해,
제 자신이 어떻게 빙의에 대한 흥미를 가지게 되었는지 부터 설명해드리려 합니다.
약 50년 전에 제가 의사 자격증을 얻게 얻게 되었는데,
세월이 지난 지금 생각해보면 처음 제가 의술을 시작할 때와 지금은
엄청난 발전이 이루어져 있습니다.
의학쪽의 모든 분야가 변화를 겪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
조금 더 정확히 말씀 드리자면 심리의학을 제외한 모든 분야가 변화를 겪었습니다.
인지심리치료나 약물등에 변화와 발전이 있기는 했습니다만,
이런 변화들은 기존의 심리의학이라는 더 커다란 틀의 변화에 근거한 효과는 아닙니다.
심리적으로 생기는 병이나 그 외 부수적인 현상들애 대한 근원적인 원리와 이해는
전혀 발전이 없었습니다.
자해를 하는 사람들, 알코올이나 다른 약물중독자들, 또한 이상한 버릇들이나
극심한 우울증에 시달리는 사람들이 겪는 고통과 문제들은
예나 지금이나 여전히 위험함에도 불구하고 그 근원과 본질적인 문제에 대해선
아무것도 모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
예전에는 이런 현상들을 생물학적인 관점에서 이해하고자 시도했을 때
많은 발전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었지만 그 부분 역시 새로운 큰 장을 열아가는
일에는 실패 했습니다.
그나마 생물학적인 관점만이 학계에서 존중을 받게 되었지만 결과적으로
새로운 시도는 없었던 것처럼 보입니다.
이런 현실 앞에서, 저는 180도로 전혀 다른 관점에서 이것을 바라보며
이 문제를 이해해 보려 노력했습니다.
1992년에 저는 한 최면 상담가와 만날 기회가 있었는데,
그는  최면을 통한 빙의 치료의  가능성에 대해 이야기를 했습니다.
저는 대단히 흥미롭고 솔깃한 마음으로 대화에 임했으며 그는 제게
미국 심리학자인 Edith Fiore의 책 "The Unquiet Dead"라는 작은 책을 주었습니다.
이 책은 Edith라는 심리학자가  이 분야를 어떻게 개척했는가를 보여줍니다.
내담자가 트랜스 상태에서 빙의령들이라 불리는 존재들은 숙주가 되는
내담자의 목소리를 빌려 쓸 수 있음을 이야기했습니다.
진지한 "대화, 혹은 상담"을 통해서 Edith는 빙의령이라 불리는 존재들이
내담자를 떠날수 있도록 도와 주었습니다.
이 책을 제게 전해 준 최면 상담가는 저의 환자 중 한 사람의 심각한 빙의적 증상을
이런 방식으로 치료하는 것을 제게 보여 주었으며 그 현장에서 저는 깊은 충격과
감동을 받아 저 역시 최면과 빙의 치료를 직접
Dr. William Baldwin에게서 배우기로 했습니다.
제가 이런 세미나를 통한 수업을 하면서 가장 크게 느낀 점은
이런 일에 관심을 갖는 사람들의 영적인 부분에 대한 신뢰의 유무와 상관없이
빙의치료는 대단히 빠르고 효과적인 치료방식으로 활용되고 있다는 점이었습니다.
몇 년동안 저는 환자에 대한 치유 목적으로 빙의 치유 기법들을 써 왔습니다.
하지만 쉬이 짐작할 수 있듯, 이런 방법들을 공식적인 기관에서 이를 활용하기에는
상당한 문제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저는 1997년  공식적인 자리를 버리고
개인적인 차원에서 상담실을 열어 수 백가지의 상담 사례들을 경험 해 왔으며
빙의치유라는 것이 굉장히 광범위한 증상들을 효과적이고 안전한 방법으로
치유할 수 있는 휼륭한 기법임을 자신있게 말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백문이 불여일견이라는 말이 있듯,
그러한 사례들을 직접 보는 것이 제가 이론적으로 설명하는 것 보다 훨씬 효과적이지만
그 전에 일곱가지의 핵심적 포인트를 말씀 드리고 싶습니다.
저는 "의식"이라는 것 자체가 하나의 객체가 되며,
단순한 뇌 활동에 의한 결과물이라고 생각 하지 않습니다.
물론, 평상시 우리들의 일상생활 속에서는 의식이 뇌의  활동이나 기능에
많은 부분 연결이 되어 있지만 수 많은 과학적 자료들은
현재 단순한 뇌 활동과 의식을 따로 생각 해야 한다는 주장을 보여 주고 있으며,
이러한 의식이란 것은
신체적 삶과 죽음에도 묶이지 않는 전혀 다른 하나의 객채라는 것을 증명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면, 생사의 갈림길, 유체이탈,
생생한 기억으로 살아나는 역사적으로 증명되는 정확한 전생의 기억들,
방언의 구사, 그리고 제가 다루고 있는 소재인 빙의등이 있습니다.
뇌활동과 의식을 연결시키는 전통적인 관점은
학자들의 생각을 제한시키고 그 틀 안에서만 생각할수 있게 하였습니다.
이로 인해, 다수의 과학자들은
이 패러다임을 지켜야 한다는 강박관념 안에서 연구를 하게 되었습니다.
이론은 연구분야를 좌우하고, 연구분야는 경험을 좌우합니다.
현재 과학자들은, 과거 종교인들이 갈릴레이 갈릴레오의 망원경을 받아들이지 못했던것처럼
이 패러다임 바깥을 보기를 거부하고 있습니다.
이 제한적 신념을 깨버릴 수 있다면,
과학은 많은 분야에서 우리에게 엄청난 도움을 줄수 있습니다.
그 분야들 중 하나가 현대의학입니다.
이 모든 것을 바탕으로, 저는 지금 중요한 주장 하나를 펼치겠습니다.
빙의치유의 많은 비판가들은 영적인 존재를 증명할수 없다고 합니다.
하지만 1851년의 하루를 생각해봅시다.
John Snow는 위험한 전염병인 콜레라를 막기위해 물펌프의 손잡이를 없앴습니다.
콜레라를 일으키는 병원균이 과학적으로 발견된 것은 이후로부터 30년 후였습니다.
그가 과학적 증명을 건너뛰고 콜레라 보균의 발견을 중단한 것은 잘못한 것일까요?
영적인 부분 역시 현대 사회에서는 충분한 과학적 바탕은 없지만
많은 사람들이 영적인의 존재의 가능성을 믿고 지속적인 연구를 한다면
지금껏 베일에 가려져 있던 많은 병들의 근원을 조금은 이해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모든 과학적 이론들은 시대에 맞는 수정이 필요하게 됩니다.
위에 열거한 많은 현상들은,
현대과학의 이론들에게 이러한 관점에서의 수정적 자세가 필요하다는 것을 강요하고 있습니다.
언제까지 이 강요의 소리를 듣고만 있어야 할까요?
 
기독교에 있어서의 부활은 대단히 중요한 개념이며,
 많은 종교적 믿음의 근원이 되고 있기도 합니다 (불교, 힌두교).
4세기에 기독교는 부활을 배제했지만
인간의 삶과 경험에 의미를 부여하는 역동적 구조는 바로 이 부활입니다.
육체의 죽음 뒤에 무엇이 따라오는지 역시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영혼은 "빛"으로 가서 영계로 들어가게 된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것은 일반적론인 현상이며 경우에 따라 다양한 이유들로 인해 현실 속에
머무르게 되는 영도 있습니다. 그래서 그 존재들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사람의 몸 속에서 기생할 수도 있으며,
그런 영들은 숙주가 되는 사람의 삶에 자신의 의지와 관계 없이
어려움을 지속적으로 제공하거나 병적인 증상들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빙의치유는 여러가지 방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전통적이며 종교적인 방법으로는 "퇴마"가 있습니다.
하지만 요즘은 종교적이지 않은 심리치료 및 심리상담적 빙의치유가 더 많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빙의령은 악한 존재로 인식되어야 할 존재가 아니라, 도움과 이해가 필요한 객체들입니다.
빙의치유에는 크게 두가지의 방식이 있습니다."
 
                    다음에 계속 됩니다.
 
위에서 보듯이 닥터 볼드윈의 빙의 치유법은 세계적으로 통용되고 있습니다.
알란 산드라 박사의 말씀에 저희 아카데미 역시 볼드윈 박사의 빙의치유법을 그대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그들은 결코 악한 전재가 아닌 도움과 이해가 필요한 객체라는 말에 크게 공감합니다.
사례는 곧 번역되는대로 옮겨 놓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