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과 심리마당/NLP

NLP와 마음의 프로그래밍

설기문 2008. 12. 19. 17:26

NLP는 신경-언어 프로그래밍으로 번역되는 영어의 Neuro-Linguistic Programming의 약자이다.

여기서 N은 신경(neuro)을 뜻하는 것으로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인간의 모든 경험은 오감을 중심으로 하는 감각과 중추신경계를 통해 이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N은 인간의 모든 행동은 시각, 청각, 미각, 후각, 촉각이라는 신경과정으로부터 유래된다는 점을 말해주는 것이다.

 

언어를 뜻하는 L(linguistic)은 인간의 심적 과정은 언어를 통해 부호화, 조직화되며 의미부여가 이루어진다는 것을 뜻한다. 그리고 L은 인간은 생각과 행동을 명령하고 타인과 의사소통하기 위해서는 언어를 사용한다는 점을 말한다. 그리고 언어는 말로 표현되는 것만이 아니라 말아닌 비언어적인 것 즉 목소리, 표정, 행동과 같은 것도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컴퓨터 용어로서 프로그래밍을 뜻하는 P(programming)는 인간의 행동이나 마음에서는 구조화되고 패턴화되며 체계적인 (그래서 프로그램화되었다고 말할 수 있는) 일련의 신경과정이 작용하고 내적-외적 의사소통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뜻한다. 또한 P는 언어에 의해 유발된 신경적 반응은 특별한 방식으로 조직적이고 체계적으로 프로그램화되어 나타난다는 것을 말한다.

 

결국 인간은 언어로 설명되거나 규정되는 세상을 다섯 개의 감각기관을 통해 경험하며,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외부의 정보를 특정한 방식으로 인식(감각)한 후에야 (즉 신경적인 반응이 일어난 후에) 구체적인 행동으로 옮긴다고 할 수 있다. 이렇게 볼 때 인간의 경험이나 행동은 언어에 의해 유발되며, 독특한 방식으로 프로그램된 신경과정의 작용에 의해 나타나는 것이라고 하겠다.

그렇기에 NLP는 어떠한 인간의 마음과 행동이라도 신경-언어적 프로그래밍의 과정을 거침으로써 형성되거나

수정될 수 있기에 그러한 원리를 통해서 부정적인 행동이나 마음을 변화시키거나 치료하고 긍정적이며

성공적인 새로운 행동과 마음을 형성하도록 도와줄 수 있다고 믿는다.

 

이와 같이 설명될 수 있는 NLP는 결과적으로 바람직한 성과와 변화를 위하여 오감적으로 경험되는

언어적인 입력과정을 통하여 내부의 신경적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개인으로 하여금 그것에 따라

행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NLP의 원리는 곧 변화, 성공, 치료를 위한 과정에서 훌륭하게 적용된다. 즉 신경-언어적 원리를 활용함으로써 내부 마음의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그것에 따라 행동한다면 변화, 성공, 치료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NLP는 인간에 대해서 호기심과 매력을 느끼는 것으로부터 시작되었다.

NLP의 창시자들은 특히 인간이 어떻게 자신의 행동을 수행하며,

어떻게 사고하며, 어떻게 학습하며, 또 어떻게 감정을 경험하고 표현할까에 대한 의문을 가졌다.

그들은 또한 특정 분야의 뛰어난 사람들 즉 성공하는 사람들은 이상과 같은 것을

평범한 사람들과는 어떻게 다르게 해 나갈까와 같은 의문들에 관한 답을 찾는 과정에서,

뛰어난 사람이 보이는 남다른 ‘탁월성’을 ‘모방’하는 가운데 새로운 학문적 체계를 만들게 되었다.

그리고 창시자들은 탁월한 업적을 남긴 성공한 모델에게서 발견했던 우수성과 성공마인드를 체계화함으로써

일반 사람들 누구라도 그것을 모방하고 따라서 학습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 결과 사람들로 하여금 탁월성을 성취하고 바람직한 변화와 성공을 달성하게 하는 NLP를 창시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