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변시야'를 통한 자기치유법 주변시야(Peripheral Vision)란 중앙시야(Foveal Vision / Central Vision)의 반대로서, 머리와 눈은 정면을 향하되 좌우의 사물들이 한 눈에 보일 수 있는 넓은 시야를 확보한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 주변시야는 명상상태나 이완상태를 이끌게 되며 곧 트랜스 상태와도 같은 상태를 만들게 된다.. 설기문 칼럼 2011.04.18
'주변시야'의 자연치유력 나는 한 때 눈을 다쳐서 한쪽 눈에 안대를 착용하고 한 쪽 눈으로만 생활을 해본 적이 있다. 그때 많은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그 불편함은 단순히 육체적인 불편함을 말할까? 아니면 그 이상의 의미가 있을까? 따지고 보면 모든 동물의 눈은 두 개 이며 좌우로 나 있다. 눈이 두 개라는 것은 어떤 사물.. 설기문 칼럼 2011.04.18
스스로 공부하게 하는, 트랜스 학습 코칭 누구에게든 즐겁고 신나게 잘 하는 것이 있을 것이다. 특히 취미, 소질, 특기에 해당하는 일을 하면 더욱 그러할 것이다. 누구든 자기가 잘 하거나 좋아하는 일을 하면 긴 시간동안 집중해도 피곤하지 않고 힘들게 느끼지를 않는다. 어떤 학생에게든 다른 과목에 비해서 특히 좋아하거나 재미있게 공부.. 설기문 칼럼 2011.04.11
경상대학교에서 EFT와 트랜스치료 특강 국립 경상대학교, 경남 진주에 있는 대학교 입니다. 경상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에서 설기문 교수의 특강이 있습니다. 특히 이번 특강은 정신간호학 전공 초청으로 마련되는데 스트레스 관리라는 과목 차원에서 이루어집니다. 그래서 특히 스트레스 관리와 PTSD치료를 위하여 EFT와 트랜스치료에 대한 .. 설기문마음연구소/공지사항 2011.04.06
이 봄에 생각하는 트랜스에 대하여 이제 봄 분위기가 완연하다. 서울의 거리에서 오며가며 보는 길가의 가로수도 아직 제대로 잎이 나진 않았지만 그래도 물이 올라 특히 수양버들같은 것은 제법 푸른 빛이 도는 것을 볼 수 있다. 남쪽에는 이미 목련, 개나리, 벚꽃까지 핀 것 같으나 서울은 아직은 아니다. 이런 따뜻한 봄날이 되면 겨울.. 설기문 칼럼 2011.04.06
이 한 장의 사진... 오늘 아침 신문에서 내 눈을 사로잡은 한 장의 사진... 가슴이 뭉클하고 안타까운 마음이 들게 하는 한 장의 사진... 그것은 곧 천안함 46용사 위령탑에 있는 아들의 동판 부조상에 따뜻하고 그리운 표정으로 부드럽게 입을 맞추는 어머니의 모습을 찍은 사진이다. 그것도 신문 한 면의 근 1/3이나 차지할.. 설기문 칼럼 2011.03.28
에너지 심리학, EFT의 이론적 배경 EFT의 원리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론적 배경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여기서는 EFT는 심신의 고통의 문제가 어떻게 해서 생긴다고 설명하며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어떻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여기는지에 대해서 알아볼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여기서는 EFT의 이론적 배경에 대해서 살.. 마음과 심리마당/EFT와 에너지심리학 2011.03.26
돈에 대한 자유, 그리고 혼란 조 바이텔은 Money Attraction에서 돈에 관해 자세하게 이야기하고 있다. 그는 그 책속에서 자신이 돈과 관련하여 어떤 가치관을 가지고 있으며 우리가 자신이 바라는 만큼의 돈을 가지기 위한 마음의 자세와 구체적인 스킬을 이야기한다. 그에 관한 내용을 조금 소개 본다. 우리는 혼란을 사랑한다 지금 .. 카테고리 없음 2011.03.26
NLP적 입장에서 바라보는 양자이론의 시사성 NLP에서 발견하는 양자이론의 시사성에 대해 생각해보자. NLP 프랙티셔너 과정과 NLP 마스터 프랙티셔너 과정에서 우리는 양자이론의 언어적 활용을 경험한다. 양자이론이 우리에게 시사해주는 면들은 많다. 그것은 무엇보다도 전통적 과학의 세계에서 별로 관심을 받지 못했던 마음과 정신의 세계를 .. 마음과 심리마당/NLP 2011.03.26
무한한 마음의 세계, 그리고 몸의 세계 이제 곧 사월이 오면, 진달래, 개나리, 벚꽃, 목련과 같은 꽃들이 지천으로 피어 날 것이다. 꽃들은 늘 먼저 피어나 꽃잎을 떨구고 있는 꽃들도 있고, 또 조금 뒤늦게 새로운 개화를 서두르는 꽃들이 함께 하는 봄, 그것이 사월이다. 여느 봄 같지 않게 이 봄은 힘겹게 우리에게 다가오는 것 같다. 일부 .. 카테고리 없음 2011.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