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과 심리마당 299

설기문 교수의 ‘스타킹 최면’은 사실이다(6) – 순간최면법

설기문 교수의 ‘스타킹 최면’은 사실이다(6) – 순간최면법 내가 최면으로 TV에 출연하게 된 것은 이미 12년 전의 부터의 일이었다. 당시에 KBS와 MBC에서 내가 하는 최면을 소개하고 나도 출연을 하였으나 당시에 나는 부산이라는 지방의 동아대학교에서 교수생활을 하고 있었기 때문에 더 이상 ..

설기문 교수의 ‘스타킹 최면’은 사실이다(5) – 최면에 대한 이해

설기문 교수의 ‘스타킹 최면’은 사실이다(5) – 최면에 대한 이해 최면을 생각하면 누구나 잠을 먼저 생각한다. 그래서 최면상태는 잠자는 상태와 같아서 아무 것도 모를 것이며 시키는 대로 할 것이라고 믿는다. 그러나 최면은 잠자는 상태와는 다르다. 오히려 최면에서는 의식이 깨어 있어서 ..

설기문 교수의 ‘스타킹 최면’은 사실이다(4) – '무한도전 최면'과 비교

설기문 교수의 ‘스타킹 최면’은 사실이다(4) – ‘스타킹 최면’과 ‘무한도전 최면’ 나에게 있어서 이번의 ‘스타킹 최면’은 여러가지 면에서 2년전의 MBC ‘무한도전’최면을 연상시킨다. 왜냐하면 무한도전에서도 나는 순간최면법을 사용하여 짧은 시간에 극적으로 유재석을 비롯한 멤버들을 ..

설기문 교수의 ‘스타킹 최면’은 사실이다(3) – '스타킹 최면'의 기획 의도와 방송 현실

설기문 교수의 ‘스타킹 최면’은 사실이다(3) – 스타킹 최면의 기획 의도와 현실 몇 주전에, SBS에서 스타킹 최면을 기획할 때 나에게 최면으로 학생들의 공부능력을 높이는 것이 가능한지, 그리고 가능하다면 그것을 내가 직접 방송에서 보여줄 수 있는지를 물어왔다. 그래서 당연한 나의 대답..

설기문 교수의 ‘스타킹 최면’은 사실이다(2) - 백문이 불여일견

앞의 글에서 나는 ‘스타킹 최면’이 방송된 후의 다양한 논란 상황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그렇다면 스타킹 최면은 왜 그렇게 논란이 되고 있는가? 이번 글에서는 이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생각해보고 나의 생각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직접 보거나 경험해보지 않고는 모른다. 사람들이 스타킹 최면에 ..

설기문 교수의 ‘스타킹 최면’은 사실이다(1)

설기문 교수의 ‘스타킹 최면’은 사실이다(1) 지난 8월1일 토요일 휴가철 저녁 시간에 방영된 SBS-TV 강호동의 126회 ‘스타킹’에서 최면이 소개되었는데, 그 최면 장면이 크게 쇼킹했는지 많은 사람들이 “조작이다”, “거짓말이다”, “짜고했다”는 등의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그 의..

중앙선데이 - 최면관련기사(4) - 최면의 과학 심리 치료

대인기피증 틱장애 50대, 네 차례 치료 받고 머리 흔들림 멈춰 최면의 과학 심리 치료 조강수<pinejo@joongang.co.kr> | 제119호 | 20090621 입력 변영돈(53·변영돈 신경정신과 의원) 원장은 신경정신과 전문의다. 그는 최면 치료 효과에 대한 믿음이 있다. 1987년 대한최면치료학회를 설립한 그는 지금도 이 학..

중앙선데이- 최면에 관한 기사 (3) - 영화.드라마 속 최면의 진실

‘올드보이’ 최면 후 암시 현실에선 가능성 희박 영화.드라마 속 최면의 진실 조강수<pinejo@joongang.co.kr> | 제119호 | 20090621 입력 영화 ‘올드보이’한 장면 최면은 공포 영화나 TV드라마의 소재로 자주 등장한다. 대부분은 최면이 부정적으로 그려진다.반인륜적 행위를 하게 하는 장치(올드 보이)이..

중앙선데이- 최면관련 기사(2) - 최면의 과학 범죄 수사

10일 전 스치듯 본 車 색깔,번호, 기억 되살려 뺑소니 잡기도 최면의 과학 범죄 수사 강민석<mskang@joongang.co.kr> | 제119호 | 20090621 입력 10일 전 스치듯 본 車 색깔,번호, 기억 되살려 뺑소니 잡기도 서울 경찰청 3층엔 ‘법최면ㆍ몽타주실’이 있다. 서너 평 남짓한 방에는 누울 수 있는 의자 하나와 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