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십은 궁극적으로 타인에게 영향을 미치는
과정이라고 할 때 그 핵심이 되는 것은 동기부여와 행동변화라고 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리더는
조직목표를 보다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궁극적으로 모든 리더십은 셀프리더십으로부터
시작된다고 하겠다. 동양에서는 이미 오래전부터 “수신제가치국평천하(修身齊家治國平天下)”라고 한 바 있다. 이는 결국 남을 다스리기 전에 먼저 자기를
다스리라는 의미가 되면서 셀프리더십의 당위성을 말하는 것이라고 하겠다.
셀프리더십의 원리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1. 자기이해
자기이해의 핵심은 자기의 특징을 파악하는
것이다. 자신의 장점과 단점, 성격적 특징, 가치관, 그리고 행동특성을 파악하고 이해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자신의 특징 중에서 자기가 계속해서 발전시킬 것은 무엇이며 개선시키거나 변화시켜야 할 것은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변화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중요하다.
2. 자기통제능력
앞에서 언급한 “수신”이란 말도 결국은 자기통제능력과 관련된다고 하겠다. 자기통제의 핵심은 생각, 정서,
행동의 통제이다. 사람들은 반드시 자기가 원하는 생각,
감정, 행동을 하거나 표출하는 것은 아니다.
원치 않는 부정적 생각이나 부정적 정서, 그리고 잘못되거나 비생산적인 행동으로 인해서
스스로 뿐만 아니라 주변에 문제를 일으키거나 생산적인 삶을 살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러한
요소들을 중심으로 하여 스스로 원하는 방향으로 자기를 통제하거나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은 아주 중요한 일일 것이다.
3. 자기주도 능력
자기주도란 스스로 주인되고 스스로 책임의식을 갖고
행동하고 살아가는 것을 말한다. 사람들은 불리한 여건 “때문에” 원하는 것을 할 수 없다고 말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한 태도는 불리한 여건에 끌려가는 태도이며 결국은 스스로 주인되지 못하고 주변 여건이 주인되게 하며 그
여건에 스스로를 맞추어가는 하인노릇을 하게 한다. 하지만 “~에도 불구하고” 하고자 하는 일을 할 수 있는 마음과 태도를
갖는다면 스스로 주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여건에 끌려가는 대신에 그 여건을 뛰어넘을 수
있는 태도와 능력이 중요하다.
4. 자신감
자신감은 과거의 성취경험에서 나온다. 작아도 성취경험이 있는 사람은 그 경험으로 인해서 “할 수
있다”는 태도를 형성하게 된다. 하지만 사람들에게는 큰
성취에 대해서는 만족하고 기억하지만 작은 성취에 대해서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는 버릇이 있다. 그래서
잠자고 있는 자신감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중요한 것은 작은 성취경험에 대해서도 스스로
축하할 수 있으며 유능감을 일깨울 수 있을 때 자신감은 키워질 수 있다. 이러한 자신감은 결국 힘들고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당당하게 대처할 수 있게 하는 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주최 :
크레벤 CREVEN.org
¨
후원 :
비타민세미나닷컴 VitaminSeminar.com